Joel's dev blog

블록체인 개발자 취업 관련 자주 물어보는 질문 정리

July 25, 2025

20 min read

지난 1년간 블록체인과 해외취업에 중점을 맞춘 스레드 계정오픈채팅방을 운영하면서 블록체인 개발자 취업과 관련하여 자주 받은 질문, 여기서 다 정리해 드리겠다.

목차

블록체인 노동시장에서 개발자로써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1. 자소서랑 커버레터 잘 적으세요.
  2. 오픈소스 기여하세요. 본인 프로젝트 말고 유명한 프로젝트 하나라도 기여하세요.
  3. 영어 공부하세요. 말듣쓰읽 편식하지 말고 다 하세요.
  4. 블록체인 트렌드 꼭 공부하세요.
  5. 네트워킹 하세요.
  6. 지인 추천 받으세요.
  7. 공부하는 법을 배우세요.
  8. 개발 블로그 운영하세요.
  9. 개인 프로젝트 만드세요.
  10. 본인의 업적을 블로그, 트위터, 링크드인, 스레드, 유튜브 등에 꾸준히 업로드하세요.

블록체인 개발은 정확히 어떤 걸 의미하나요?

  1. 풀스택 (FE & BE) 개발: TS만 알아도 큰 문제는 없음. 물론 회사에 따라 백엔드에 Rust, Go를 사용할 수 있음. 예시: https://github.com/aave/interface, https://github.com/aave/aave-utilities, https://github.com/aave/protocol-subgraphs 등.
  2. 스마트컨트랙트 개발: Solidity, TS 사용. Rust/Go는 중점적으로 사용하진 않지만 도움이 될 수는 있음. 예시: https://github.com/aave-dao/aave-v3-origin, https://github.com/aave/Aave-Vault, https://github.com/aave/gho-core 등.
  3. 프로토콜(L1, L2, Bridge, AVS 등) 개발: Solidity, Rust, Go 등을 주로 사용. 예시: https://github.com/ethereum/go-ethereum, https://github.com/paradigmxyz/reth 등.
  4. 기타등등: 인프라/데브옵스/SRE/보안 엔지니어

채용 공고는 어떻게 찾아보나요?

링크드인은 검색 기능이 너무 안 좋아서 개인적으로 사용하진 않습니다.

주니어도 채용의 기회가 많나요?

적어도 해외 리모트는 주니어 포지션이 많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국내를 보자니 애초에 블록체인 관련 채용 포지션이 적습니다. 보통은 어느 포지션이든 최소 2-3년 정도의 경험이 있는 경력직을 선호합니다. 요즘엔 최소 5년도 많은듯 합니다.

이유를 들자면 이 업계는 보통 소수정예 선발을 좋아하고, 시행착오를 이미 겪어서 빠르게 프로덕트를 만들 수 있는 사람을 더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소수정예란 뜻은 Web2 회사에 비해서 Web3 회사는 현저히 인력이 적다는 말입니다. Web3 ‘대기업’은 아직까지 없습니다.

그렇다면 그 전에는 Web3 밖에서만 활동해야 하느냐고 물었을때 또 그런건 아닌 것 같습니다. 트위터, 텔레그램으로 소식 열심히 받아보고 채용공고 심심할때쯤 한번씩 들어가보고 솔리디티 끄적끄적 해 보고 오픈소스된 컨트랙트 좀 읽어보고 유명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기여도 좀 해보고 문서도 좀 읽어보고 등등. 이렇게 해야만 기회가 비로소 왔을 때 잡을 수 있슴다.

더 많은 정보는 개발자로써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을 참고하세요.

비전공자도 취업 가능할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유수 대학에서 4년제 컴공을 졸업한 사람과 경쟁할 자신이 있어야 합니다. 그건 본인이 자신감을 어떻게든 가지는 수 밖에 없구요.

비전공자라고 자신없어하지 마세요. 자신감만 있으면 전공자든 비전공자든 열심히 준비하기만 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진입장벽이 좀 높아서 처음엔 안 좋은 회사에서 시작할 수밖에 없을 수도 있습니다. 어쩔 수 없는 단계지만 그곳에서 얼마나 빠르게 상승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고 그건 오로지 본인에게 달려있습니다.

일단 오늘부터 뭐라도 하세요.

다른 업계 (web2)에 종사하는데 쉽게 넘어갈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There is no silver bullet. 한 가지 정답은 없습니다. 저는 말씀드렸듯이 정말 우연찮은 계기로 넘어왔습니다. 플랫메이트가 크립토 VC에서 일하는 친구였고, 대학교 막학기에는 옆 자리에 앉은 친구에게 말을 걸었더니 크립토 회사에서 일을 한다길래 어쩌다 보니 Web3 파트타임 일을 추천받았습니다. 그러니까 다시 말하자면 네트워킹 + Web2 경력이 만든 결과였죠.

여러분에게도 자신만의 특별한 계기가 있을 겁니다. 말씀드린 기본기를 일단 연마해보세요. 그러면 기회가 생길 거에요!

한국에서 리모트로 해외 회사에서 일하면 계약 구조는 어떻게 되나요?

한국에서 개인사업자를 차리고, 해외 회사와 그 개인사업자가 계약을 맺는 식으로 진행됩니다.

월급을 받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암호화폐 (USDC, USDT, DAI 등)
  2. 법정화폐 (USD 등)

두 방법 모두 월급을 받았을 때 세금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가장 쉬운 방법은 세무사 한 분을 붙여서 한달에 10-20 만원의 비용을 내고 기장 관리를 맡기는 것입니다.

은행 계좌는 인터넷은행(카카오, 토스, K뱅크)이 아닌 은행에서 개인사업자용 계좌를 하나 열면 됩니다. 계좌는 한화계좌, 외환계좌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한화계좌로 받게 되면 송금되는 화폐에 상관없이 무조건 한국 원으로 바로 입금됩니다. USD를 들고 있을 수 있는 외환계좌를 선택하게 되면 USD를 그대로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경우에 따라 은행에 사업 계약서를 제출해야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들어본 말로는 1번이 법적으로 모호한 영역에 있어서 보통 2번을 추천한다고 합니다.

처음 공부를 시작할때 추천하는 자료가 있나요?

무료 튜토리얼

블록체인 트렌드 관련

텔래그램

웹사이트/뉴스레터

처음 공부를 시작할때 추천하는 로드맵이 있나요 (어떤 언어 먼저 공부 등)?

  1. 블록체인 관련 어플리케이션 사용해보기/살펴보기. 뭘 만드는지도 모르는데 공부를 시작하는게 더 이상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용해보면 어쩔 수 없이 이해해야 할 수 밖에 없음.

  1. Solidity 공부 시작

컨트랙트 개발 공부를 먼저 권유드리는 이유는 어차피 이걸 이해해야 컨트랙트와 연결되어 있는 프엔/백엔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EVM 전용 언어인 Yul, Sui와 Aptos의 Move, 솔라나의 Rust 등 스마트 컨트랙트 언어가 많지만, 결국엔 진입장벽이 낮고 배울 수 있는 리소스가 가장 많은 솔리디티가 기본입니다. 프로그래밍의 파이썬? 같은, 그냥 기본으로 가져가는 느낌입니다.

저에게 가장 효과 있었던 방법은 오픈소스 프로토콜 (Uniswap, Aave 등)의 소스코드를 찾아서 코드 한줄 한줄씩이 무슨 뜻인지 해석해보고, 블로그 글로 적어보는 식입니다. 물론 그 전에 그 프로토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직접 사용해보면서 공부를 하고요.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튜토리얼을 참고하세요.

  1. Web3 프로젝트 개발 시도하기

통상적인 DApp은 컨트랙트, 프론트엔드, 백엔드가 모두 필요합니다.

프론트엔드, 백엔드는 웹2랑 좀 다르게도 월렛 연결 관리, 블록체인 이벤트 인덱싱 등을 관리해줘야 합니다.

또 환경별로 로컬, 테스트넷, 메인넷에 배포해야 하죠.

이 경험이 쌓이고 쌓이면 어느 순간 DApp이 대충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게 됩니다.

주제는 뭐든지 좋습니다. 가능하다면 본인이 평소에 알거나 겪고 있었던 문제를 해결해주는 DApp을 만들어 보세요.

진득하게, 2-3달 사용해서 배포까지 해 보세요. 3일짜리로 끝내지 말고.

  1. 오픈소스 기여하기

80-90%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은 모두 오픈소스입니다.

이건 큰 기회입니다. 규모있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제대로 된 commit을 몇 개 남기기라도 하면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몇몇 회사는 지원할때 오픈소스 기여한 기록을 물어보는 곳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기여하세요. 뭐든지간에!!

그리고 그 코드를 공부하세요. 몇억씩 받아가는 개발자들이 적은 위대한 코드가 바로 당신의 교과서입니다.

  1. 해커톤 참여하기
  • 네트워킹 기회.
  • 단기간에 뭐라도 강제로 배울 수 있습니다.
  • 포폴에 넣을 거 하나라도 더.

리모트로 해외 회사 블록체인 개발을 하게 되면 영어를 잘 해야만 하는지 궁금합니다.

  • 개발 직군: 개발 천재면 영어 못해도 잘 할 수 있습니다. 개발 천재 아니면 아닐수록 영어로 입을 털어야 일을 잘 할 수 있습니다.
  • 비개발 직군: 영어 잘해야 합니다.

블록체인 개발 업계 평균 연봉이 궁금합니다.

몇 가지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회사 HQ 위치
    • 한국이면 당연히 적게 줍니다. 진짜 진짜 진짜 잘하는 형을 아는데 한국회사 다니면서 대충 세전 2억 언저리로 받는다고 들었습니다.
    • 외국(특히 미국)이면 상방은 아름답게 뚫려 있습니다. 잘하기만 하면 기본급 200-400K USD 노려볼 수 있습니다.
  2. 직무는 보상이 회사 따라 천차만별이라 그냥 일반적으로 잘 주는지 안 주는지만 적어놓겠습니다.
    1. 프론트엔드: 하. 가장 쉬우니 가장 덜쳐줌.
    2. 백엔드: 중-상. 프엔보단 더 쳐줌. 백엔드가 특별히 중요한 곳들이 더 있음. 거래소 같은 곳은 백엔드 중요함
    3. 인프라/데브옵스/SRE: 중-상. 이미 이 포지션을 뽑는다는 거 자체가 회사가 어느정도 성숙했고, 이 부분이 중요하다는 뜻. 잘 쳐줌.
    4.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중-상. 잘 쳐줌.
    5. 블록체인 코어 개발 (L1, L2 등): 상. 매우매우 잘 쳐줌.
    6. 보안 감사: 상. 매우매우 잘쳐줌.
  3. Seniority
    1. 경력이 없으면 일 자체를 구하기가 힘듭니다.
    2. 2-3년 경력이면 취업을 노려볼 수는 있으나 특별한 케이스 아닌 이상 100-150K 정도
    3. 그 이후는 그냥 열려있음 (최상의 경우에는 400K 정도. 물론 400K 받는 사람은 손에 꼽습니다)
  4. 회사 투자유치 현황
    1. 투자 못 받았으면 당연히 많이 못 줍니다.
    2. 3-5M 정도면 150K는 줄 수 있는듯
    3. 10M-50M이면 그냥 막 불러도 되는듯

그래서 제가 보기엔 해외 기준으로는 Base salary 80K-400K, 한국 기준으론 최저임금부터 2억까지인것 같습니다.

물론 특별한 경우는 언제나 존재합니다. 예를 들면 프론트엔드가 WebGL 기반이라 엄청 중요하면 돈을 많이 받겠죠? Take it with a grain of salt.

현실적인 해외 + 리모트 + 블록체인 회사 취업 가능성이 궁금합니다.

쉽지 않습니다. 영어 해야하죠, 인터뷰 빡세게 봐야하죠, 코드 잘 적어야 하죠, 블록체인 잘 이해해야 하죠, 오픈소스 잘 해야 하죠, 네트워킹 잘 해야 하죠..

그리고 리모트 포지션이라 글로벌 인재들과 경쟁을 하기 때문에 한국 내에서 취업하는 것보다는 10-20배로 어렵습니다. 상상해 보세요. 하버드 나온 인도인도 내가 지원하는 포지션에 지원하고 있을 수도. 그리고 대부분의 포지션이 미국, 유럽 타임존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APAC은 기술적으로 소외된 지역입니다. 그래서 더 잘해야 합니다.

하지만. 불가능한 건 아닙니다. 그니까 제가 생각하는 극단적인 확률은 프로 야구선수 되기 정도의 확률입니다. 이 정도는 당연히 아니고요. 그 확률에서 한 100,000 정도만 곱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충분히 할만합니다.

진짜 하고 싶다면 걱정할 시간에 코드 한 줄이라도 더 적고, 오픈소스 코드 한 줄이라도 더 보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잘하면 보상은 확실합니다.

주인장 소셜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저의 소셜도 참고 바랍니다.


Written by Joel Mun. Joel likes Rust, GoLang, Typescript, Wasm and more. He also loves to enlarge the boundaries of his knowledge, mainly by reading books and watching lectures on Youtube. Guitar and piano are necessities at his home.

© Joel Mun 2025